Discover[저탄고지] 낮춰요 탄식, 높여요 지식!
[저탄고지] 낮춰요 탄식, 높여요 지식!
Claim Ownership

[저탄고지] 낮춰요 탄식, 높여요 지식!

Author: 저탄고지

Subscribed: 2Played: 18
Share

Description

탄식은 낮추고, 지식은 높여요! 과연.. 그들은 지식을 높이고 탄식을 낮출 수 있었을까요?
오~세상 돌아가는 이야기 좀 아는 놈인데? 알아두면 언젠가는 써먹을 수 있는 본격 잡학다식 팟캐스트!

투토, 리담, 겸또가 함께합니다.

문의 메일: low.tan.high.ji@gmail.com
69 Episodes
Reverse
저탄고지 69회 (높여요 지식) 저출산으로 한국이 사라진다?! 그렇다면 어렵게 출산으로 태어난 사람들이 살아갈만한 사회인가?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국민의 수가 OECD 국가 중 1위인 한국의 자살률의 현황과 그 원인을 알아봅니다. 그리고 자살률을 낮추지 못 하면 출산율 역시 줄어들 수 밖에 없다는 데.. 저탄고지와 함께 자살률과 출산율의 상관관계도 함께 살펴봅니다.  key speaker : 리담
Key Speaker: 투토 ep. 68 [서울시 외국인 가사(육아)인력 시범사업] 외국인 가사(육아)도우미 당신은 고용 하시겠습니까? 저탄고지 68회 (낮춰요 탄식) 1부의 서울시 시범사업에 대한 저탄고지 멤버들의 열정적인 토론, 여러분의 생각을 들려주세요. Q1 : 외국인 가사도우미에 대해 한시적으로 최저임금을 조정해야 하는가? Q2 : 만약 내가 자녀를 가지고 있다는 가정하에 저렴한 80-100 만원선의 외국인 가사도우미가 서비스가 있다면 이용할 의사가 있는가? Key Speaker: 투토
ep. 67 [서울시 외국인 가사(육아)인력 시범사업] 맞벌이부부 양육부담 완화의 돌파구가 될것인가 저탄고지 67회 (높여요 지식)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합계출산율, 이에 대한 서울시의 가사(육아)인력 공급 확대를 위한 시범사업을 소개합니다. 어떤 정책인지 기대효과와 우려사항들은 없을지 저탄고지가 함께 알아봅니다. Key Speaker: 투토
ep. 66 [주4일제] 주4일제 vs 연차 2배 밸런스 게임 저탄고지 66회 (낮춰요 탄식) 상상만으로도 재밌다! 주 4일제 vs 연차 2배 밸런스게임! 저탄고지 멤버들의 선택은? Key Speaker: 겸또
ep. 65 [주4일제] 주4일제 도입, 가능할까? 저탄고지 65회 (높여요 지식) 2024 총선을 앞두고 다시 한 번 뜨거운 감자가 된 주 4일제, 과연 우리나라에도 주4일제가 도입될 수 있을까? - 주 4일제 이전에 주 5일제, 그리고 주 6일제가 있었다. - 주 4일제 논의 배경 - 찬성과 우려 의견 - 우리나라와 해외 도입사례 Key Speaker: 겸또
ep. 64 [필수의료정책과 의사 총파업] 피할 수 없는 의료 난제   저탄고지 64회 (낮춰요 탄식)   큰 병원에 진료를 받으러 하루를 꼬박 이동 시간에 써야 되고, 응급실에 가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확률이 50%라면, 과연 우리 중 누가 지역 의료 부족과 응급 의료 부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까요?   2부에서는 지역 의료와 응급 의료의 부족을 느꼈던 경험과 이번 의료 파업에 대한 저탄고지 멤버들의 가감없이 솔직한 생각을 함께 나눠봅니다.   key speaker : 리담
ep. 62 [서울시 안심소득 정책] 기본소득 정책의 필요성 저탄고지 62회 (낮춰요 탄식) 서울시에서 실행하는 기본소득 실험 서울 안심소득 정책. 이와 같은 기본소득이 효과적인 정책일지 또한 미래를 대비하는 방법일지 토론해봅니다. Key Speaker: 투토
ep. 63 [필수의료정책과 의사 총파업] 기로에 선 한국의 의료 난제 저탄고지 63회 (높여요 지식) 9천명 넘는 전공의의 사직과 의사 면허 정지 절차 진행. 의사와 정부 모두 쉽게 물러서지 않을 것 같은 이번 파업. 어떤 배경을 가지고 어떻게 발생했을까요? 저탄고지와 함께 정부가 발표한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사 총파업, 의료계의 해묵은 난제를 파해쳐봅시다. key speaker : 리담
저탄고지 61회 (높여요 지식) 소득이 높을수록 소득세가 커진다면 반대로 소득이 낮으면 국가에서 돈을 준다고요? 서울시에서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실행하고 있는 기본소득 실험. 저탄고지 멤버들이 어떤 정책인지 소개해드립니다. Key Speaker: 투토
ep. 60 [정신질환 인식개선] 정신건강을 지키기 위한 나만의 방법은? 저탄고지 60회 (낮춰요 탄식) 그렇다면, 저탄고지 멤버들이 생각하는 ‘나만의 정신건강을 지키기 위한 방법’은? 여러분만의 방법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 Key Speaker: 겸또
저탄고지 59회 (높여요 지식) 2024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여러분의 정신 건강은 안녕하신가요? 몸 건강 만큼이나 중요한 정신 건강. 우리사회는 얼마나 정신건강,질환에 관심을 가지고 있을까요?  우리 사회는 정신 질환에 얼마나 관대할까? 사실 꽤나 잘 되어있는 우리나라 정신과 의료 시스템 이제 정부도 나섰다. ‘정신건강정책 혁신방안’ 해외는 어떻게 하고 있을까? 미국, 영국, 호주의 사례 Key Speaker: 겸또
ep 58. [사회적 재난과 안전 사회 2부] 저탄고지 58회 (낮춰요 탄식)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는 사회가 되려면? 살면서 사회에서 안전하지 않다고 느꼈던 것들과 안전한 사회가 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들을, 함께 하는 시민으로써 저탄고지 멤버들과 이야기 해봅시다. - 우리가 생각하기에 안전 사회를 위협하는 것들 - 우리가 생각하는 안전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들 Key Speaker: 리담
ep 57. [사회적 재난과 안전 사회 1부] 저탄고지 57회 (높여요 지식) 안전 사회로 가기 위해 살펴볼 것들 세월호 참사 이후 10년도 되지 않아 겪은 이태원 참사. 안전 사회를 논의하기 위해 사회적 재난의 특징와 패턴을 자연 재난과의 차이점을 통해 알아봅니다. 그리고 안전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들과 이를 가로막는 것들은 무엇이 있는지 저탄고지 멤버들과 이야기 해봅시다. - 사회적 재난 vs 자연 재난. 차이점은? - 안전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것들과 방해하는 것들: 인정의 문제와 2차 가해 Key Speaker: 리담
ep.56 [집중력의 소멸 2부] 집중력을 유지하는 비법 저탄고지 56회 (낮춰요 탄식) 집중해야 할 상황이 필요할 때 또는 집중이 안 될 때 어떠한 방법으로 해결하시나요? 저탄고지 멤버들의 집중력을 높이는 꿀팁공개! 재밌는 밸런스 게임까지. - 저탄고지 멤버들의 집중력을 높이는 꿀팁 방출 - "스마트폰과 SNS가 존재하지 않는 세계에서 살기 VS 현재의 시대를 살기" 여러분의 선택은? Key Speaker: 투토
ep.55 [집중력의 소멸 1부] 현대인의 집중력이 소멸되고 있다? 저탄고지 55회 (높여요 지식) 현대인들의 집중력 저하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비만율 증가와 같은 사회적 문제라고요? 현대인의 집중력 저하의 원인과 해결방법을 저탄고지 멤버들과 함께 알아봅니다. - 집중력을 저하시키는 4가지 이유 - 집중력 저하의 개인적 사회적 관점에서의 문제 - 근본적인 집중력 회복 방법 Key Speaker: 투토
ep.54 [수능 N수생의 시대 2부] 수능낭인 세태, 이대로도 괜찮을까? 저탄고지 54회 (낮춰요 탄식) 대입 경쟁으로 인한 수능낭인 세태, 멤버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요? - 수능낭인 세태에 대한 멤버들의 생각 - 수능낭인 세태, 해결해야하는 문제일까? 그렇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Key Speaker: 겸또
ep.53 [수능 N수생의 시대 1부] 3명 중 1명이 N수생? 저탄고지 53회 (높여요 지식) 2024 수능 응시자 3명 중 1명이 N수생? 자퇴 사유가 ㅇㅇ 준비? 그들이 수능에 이렇게나 진심일 수 밖에 없는 이유. - 수능 N수생 비율의 증가 - 문이과 통합수능을 아세요? - 꺼지지 않는 의대열풍 - 새롭게 떠오르는 자퇴 사유 - 골든티켓 신드롬 Key Speaker: 겸또
ep 52. [무너진 교실, 교권침해 2부] 교권회복을 위해 필요한 것들 저탄고지 52회 (낮춰요 탄식) 연이어 들려오는 선생님들의 비극적인 소식과 표류되어 있는 교권보호방안법들. 이대로만 있을 수는 없어 저탄고지 멤버들이 머리를 맞대어보았다. 교권을 회복하기 위한 대책들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그러기 위해 우리 교육이 어디서부터 어떻게 바뀌면 좋을까요? 저탄고지 멤버들과 깊고, 넓게 이야기해봅시다. - 교권 회복을 위해 필요한 지원과 방안 - 우리 교육에서 가장 변화가 필요한 부분 key speaker: 리담
ep 51. [무너진 교실, 교권침해 1부] 저탄고지 51회 (높여요 지식) 나날이 들려오는 선생님들의 안타까운 소식. 학생에게 맞고, 민원에 시달려도, 마땅히 기댈 곳 없는 교사들은 오늘도 거리에 나와 교사보호를 외치고 있다. 어쩌다 교권은 무너지게 되었을까. 그 이유와 정부의 조치, 앞으로 남은 해결과제까지. 저탄고지 멤버들과 함께 알아봅시다. - 교권침해의 실태, 어디서부터 잘못된 걸까? - 「교권 회복 및 보호 강화 종합방안」은 무너진 교권을 살리는 데 충분할까?
저탄고지 50회 (낮춰요 탄식) 정부의 대응으로 진화되고 있는 새마을금고 뱅크런 사태 하지만 주요 임원들의 구속 소식과 금융범죄 혐의는 또 다른 문제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 반복되는 금융범죄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일까? - 금융범죄를 방지할 수 있는 저탄고지 멤버들이 준비한 참신한 대책! - 다시 돌아온 밸런스 게임 과연 여러분의 선택은? key speaker: 투토
loading
Comments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