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over
비로컬

28 Episodes
Reverse
비로컬 에디터들이 직접 가서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긴(?) 사당•이수•방배 점심식사 이야기, 한번 들어보실래요?
일본에서는 우리나라보다 먼저 지역재생이 이뤄졌는데요. 우리나라와 행정이나 제도 환경이 유사하다는 점에서 눈여겨볼 만한 사례들도 있습니다. 무조건 모방할 것도 아니고 무조건 비판하는 것도 아닌 관점에서 어떤 사례든 그 의미를 되새겨보는 일이 중요하겠습니다. 로컬의 지속가능성 마지막 이야기, 시작합니다!
*이 기획은 비로컬, 서강대학교 SSK지역재생연구팀, 더가능연구소가 함께 기획,취재,조사했습니다.
*이 방송은 더가능연구소 조희정 박사의 자문을 받았으며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했습니다.
※정정합니다※
14:50~14:57에서 사단법인PPL은 LG소셜캠퍼스 프로그램 중 인재육성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다고 언급했으나, 인재육성 프로그램뿐 아니라 LG소셜캠퍼스 전체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로컬에서 만들어진 상품과 다양한 액티비티가 활발히 거래되는 비즈니스의 장으로서 크라우드펀딩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은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고, 라이프스타일에 투자하는 장이 되고 있습니다. 크라우드펀딩의 대표주자 <와디즈>는 2019년 1,400억, 2020년에는 2,000억 원의 펀딩이 이뤄졌을 정도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회에서는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이 무엇인지 짚어보고, 대표주자인 <와디즈>의 이야기를 담아보았습니다.
코로나 백신이 도입되고 있지만 로컬도 포스트 코로나, 위드 코로나 시대를 넘어가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코로나 이후에는 뭐가 있을까요? 어떻게 해야 이 어려운 상황을 극복할 수 있을까요? 전 세계는 뉴노멀의 시대의 ESG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ESG란 과연 무엇일까요? 그게 로컬에 끼치는 영향은 무엇일까요?
두 달 반만에 팟캐스트로 돌아온 김혁주 발행인이 여러분께 설명해드립니다.
방배동도 사당동이었다? 이번 시간은 방배동의 역사를 통해 사당 로컬 아닌 사당으로 여겨졌던 사당역 동편 방배동에 대해 알아봅니다.
"로컬크리에이터 2020"을 선언하며 달려온 비로컬 팟캐스트의 지난 1년간을 돌아보는 시간.
1월부터 12월까지 비로컬 특집을 되짚어 보았습니다.
10월의 비로컬은 ‘로컬벤처’ 특집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경남 남해 두모마을에 자리잡은 <팜프라> 유지황 대표를 만나
지금의 <팜프라>가 있기까지의 이야기와 더불어
농촌을 계승하고 지키기 위해 필요한 크리에이티브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1부: 삶의 전환을 꿈꾸는 청년들의 인프라
2부: 농촌을 지키는 로컬 콘텐츠 스타트업
비로컬 팟캐스트가 전하는 말랑말랑 골목 이야기. 신사동 가로수길 옆 골목에 살고 있는 달프로덕션 송대표와 함께 일하는 김피디를 통해 진짜 가로수만 있던 시절의 가로수길 이야기와 가로수길 주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비로컬 팟캐스트가 전하는 말랑말랑 골목 이야기. 윤준식 편집장과 츤데레 에디터 김기자가 이야기하는 '먹는 성수' 그 세 번째.
8월 특집은 로컬 콘텐츠입니다. 서울의 서촌 콘텐츠로 도보여행으로 즐기는 서촌 도슨트 투어를 만들고, 복합문화공간 별안간, 콤콤오락실로 잘 알려진 스몰데이즈 설재우 대표님을 만났습니다. 설재우 대표가 로컬 콘텐츠에 집중하고 만들어오게 된 과정과 에피소드들을 비로컬 청취자 여러분께 최초 공개합니다.
비로컬 팟캐스트가 전하는 말랑말랑 골목 이야기. 망원 로컬 주수현 대표님이 서울과 부산 영월 말고 내가 사는 그 골목이야기를 말합니다. 로컬컨텐츠를 AR/VR을 통해 고민하는 주렁주렁스튜디오 주수현 대표님이 사는 동네 망원은 어떤 곳일까요?
비로컬 팟캐스트가 전하는 말랑말랑 골목 이야기. 윤준식 편집장과 츤데레 에디터 김기자가 이야기하는 '먹는 성수' 그 두번째.
7월 특집은 로컬 커뮤니티입니다. 로컬과 로컬 사이, 로컬과 로컬콘텐츠 사이에 결국 사람이 있다는 이야기는 모두에게 익숙하지만 모두에게 당연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커뮤니티 빌더 청춘여가연구소 정은빈 대표님을 모시고 로컬 커뮤니티의 의미와 미래를 함께 돌아봅니다.
비로컬 팟캐스트가 전하는 말랑말랑 골목 이야기. 로컬트렌드로 급부상 하는 속초의 골목길 구석구석을 소호259 이승아 대표님과 여행자 컨시어지 고구마 살롱에서 담았습니다. 밀레니얼을 위한 속초 여행은 어떤 느낌일까요?
비로컬 팟캐스트의 말랑말랑 콘텐츠 시도, 좌충우돌 골목탐험 정규편성! 후암동을 사랑하는 아티스트 '이츠미' 성예은님을 통해 후암라이프를 살펴봅니다.
비로컬 팟캐스트의 말랑말랑 콘텐츠 시도! 연트럴파크를 비로컬 편집장 윤준식과 비밀의 츤데레 에디터 김기자가 돌아봅니다. 편집장과 게스트의 만담을 통해 이리저리 골목을 탐험하는 느낌으로 로컬트렌드를 만나보세요.
서울도 로컬이다? 성수동 토박이 33table 이남곤 대표님과 함께 성수동의 로컬콘텐츠를 돌아봅니다. F&B 업계가 바라보는 로컬콘텐츠는 어떤걸까요? 우리는 성수동에 어떤 기대로 찾아가고 있는 걸까요? 진짜 성수의 로컬콘텐츠는 어떤걸까요?
4월 로컬의 진화 특집. 새로운 행보를 보이는 로컬씬 플레이어를 만납니다. 지난 몇 년간 대한민국 로컬씬은 물론 디지털노마드씬에서 꿈의 도시로 불렸던 시냇가에서 와이파이가 터지는 마을 이미지로 유명한 카미야마를 도서 마을의 진화를 번역하신 조희정 박사님을 통해 만납니다.
4월 로컬의 진화 특집. 새로운 행보를 보이는 로컬씬 플레이어를 만납니다. 지난 몇년간 대한민국 로컬씬은 물론 디지털노마드씬에서 꿈의 도시로 불렸던 시냇가에서 와이파이가 터지는 마을 이미지로 유명한 카미야마를 도서 마을의 진화를 번역하신 조희정 박사님을 통해 만납니다.
4월은 로컬의 진화: 새로운 행보를 보이는 로컬씬 플레이어들을 만났습니다. 오프라인 빌더에서 온라인 빌더로 넥스트 스텝을 준비하고 있는 공장공장을 만나서 목포에서 시작하는 로컬씬의 변화를 함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