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익 감독에 대한 본격적인 이야기는 36분 40초부터 시작합니다. 영화 '황산벌'에 대한 이야기는 1시간 26분부터 이어집니다.
김군의 시나리오와 성스타의 고민 영화에서 사생활이 사라지는 것 같다는 느낌? 시트콤이라는 형식과 <사인펠드>, <논스톱> 청년과 다양한 세대의 재현, 그리고 대중 문화로서의 영향력 문화의 두터움에 대해서 유명한 작품을 영화화 하고 망하는 세태 사람들이 영화를 보게 하려면?? 어디서도 볼 수 없는 영화들에 대한 불만 일상적 표현이 영화에서 문제가 될 때 - 눈맞춤, 포옹, 섹스 작품의 인간적인 자질 - <네멋대로 해라>, <인간실격> 영화의 쇼츠화, 그리고 유튜브 요약본
성스타와 황박사의 <머티리얼리스트> 감상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소개 오프닝과 엔딩에 삽입된 전지적 해설 내레이션의 기능과 그에 대한 호불호 영화라는 문의 안과 밖을 자유롭게 오가는 스필버그 할란 오길비의 지하실 시퀀스에 대해 스필버그 작품 속 정보의 중요성 - 유통과 통제 스필버그 영화의 자기 반영성, 그리고 '본다'는 것에 대해 스필버그 영화의 핵심 이미지를 꼽는다면? - <미지와의 조우> 주인공 레이의 악몽 영화 속 계급 문제에 대해 촬영감독 카민스키의 빛 스필버그 Best 영화는? 디테일 별점과 한 줄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