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에피소드에 우리가 철학에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았습니다. 철학이 두껍고 무겁고 어렵게 느껴지지만 생각보다는 이 무거운 철학이 우리 인생속의 한 구석에 꿋꿋히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이 시대에 우리가 필요 하는 찰학과 만납시다!
이번 에피소드에 우리가 공포증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공포증이 왜 생길까요? 공포증이 원인이 무엇일까요? 공포증이 대체 무엇일까요? 그리고 가벼운 공포증이나 심각한 공포증을 어떻게 극복 할 수 있을까요? 우리와 함께 알아봅시다!
나는 왜 살고 있을까요? 정답을 알 수 있을까요? 정답이 있다면 그 다음은 어떻게 하면 될까요?왜 열심히 살고 있어도 이런 질문이 생길까요?나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봅시다!
우리가 피곤하게 만드는 시대에 삽니다. 근데 피곤함이 도대체 무엇일까요? 피곤함이 왜 생길까요? 피곤함을 물러치는 방법이 있을까요?우리가 함께 알아봅시다!
여성분들과 남성분들이 평등한 사회에 살 수 있도록 이제 더 이상 조심하게 말을 안 하고 덮어주지도 않고 사실대로 이야기를 해야 되는 시기가 다가왔습니다. 변한다는 것이 무언가를 끊임없이 시도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함께 평화로운 사회를 이룹시다! *이 방송은 2019년 3월23일에 등록되었으며, 장자연님 사건은 현재 정보와 다를 수도 있습니다.
위안부 피해자분들은 왜 뒤늦게 알려졌나요? 페미니즘 운동이 무엇인가요? 19세기와 20세기 여성분들이 왜 페미니스트가 되었을까요? 이번편에 우리가 위안부, 페미니스트 행동, 종류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3월8일은 왜 세계 여성의 날일까요? 19세기까지 여성분들이 어떻게 살아 왔는가요? 여성으로 태어나는건가요? 여성이 만들어지는건가요? 이번편에 우리가 여성이라는 신화, 여성의 이미지, 여성의 역사, 여성이 하는 역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우리가 이 세상으로 돌아오는 순간부터 먼저 배웠던 것은 신뢰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살아가면서 신뢰와 관련된 일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우리의 신뢰가 떨어졌을때, 우리가 신뢰를 깼을때에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이번 에피소드에 우리가 공존하는 사회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시는 분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이번 에피소드에 우리가 다양한 사례를 챙겨와서 낮은 자존감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주부터 몇주동안 우리가 너무나 필요한 자존감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2:23 - 자존감, 자존심, 자긍심, 자신감의 뜻을 풀기 14:36 - 거만한 사람과 자존감이 높은 사람의 차이 25:46 - 내가 이렇게 당했는데 다른 사람들도 당해야 지 27:42 - 나는 거만한다는 소리를 들었다 31:23 - 낮은 자존감의 다양한 모습 26:26 - 자존감이 없다는걸 언제 느낄까요? 50:20 - 자존감이 높은 사람의 특성
-뤠이니와 이슬라가 각자 아침을 시작하는 방법과 실패했던 경험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유튜브를 통해 도움받았던 경험 *Productive day! -왜 아침을 추천할까요? 아침이 주는 효과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크리스마스, 산타클로스, 트리는 어떻게 생겼나요?한국에는 크리스마스가 언제부터 들어왔나요?현재는 사람들이 어떻게 보내고 있나요? 크리스마스 이야기: 크리스마스 캐럴 - 찰스 디킨스 크리스마스 영화 추천하기 . 이슬라와 뤠이니가 크리스마스에 대해 이야기 나눠 보았습니다.
팟개스트 내용: -이번주에도 우리함께 창의력 테스트를 해봐요 1) 브레인 스토밍. 어떤 분위기에 브레인 스토밍을 하는 게 제일 효과적인가요? 2)유리카 그리고 신기하다 라고 하는 말의 차이 3) 비누바울필터가 무엇일까요? (지식을 넓히다는 것을 막는 것입니다!) 4)뇌가 정보를 무시하는 기능 (모세와 노아 테스트) 5) 사진들을 겹치기( 테스트) 출저: Steve Rawling, Be creative now! (2016) 이슬라와 뤠이니가 창의력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았습니다
팟개스트 내용: - 창의력을 위해 필요한 사고는 무엇인가요? (확산적 사고, 병렬적 사고, 수렴적 사고) - 우리함께 창의력 테스트를 해봐요 1) 불확정성 상황 판단 능력 테스트 2)확산적 사고 테스트(색깔) 3) 병렬적 사고 테스트 (알란과 벤 이야기) 4) 확산적 사고 테스트 (클립) 출저: Steve Rawling, Be creative now! (2016) 이슬라와 뤠이니가 창의력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