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over이근철의 교양의 발견
이근철의 교양의 발견
Claim Ownership

이근철의 교양의 발견

Author: HanBP

Subscribed: 60Played: 1,293
Share

Description

아는 척, 배운 척, 어디서든 있어 보이는 문화 & 상식 이야기!
각 나라의 포인트 1가지만 알면 어디에서라도 살짝~ 교양 있는 척 가능.
우리를 둘러싼 모든 것이 교양이 된다!
42 Episodes
Reverse
어록의 발견! 우리가 1등이 되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영원한 1등이 존재할까요? “우리가 정복하는 것은 산이 아니라 바로 우리 자신이다.” 교양의 발견 시즌 1, 마지막 편까지 함께 해주세요!
인물의 발견! 인류 최초로 에베레스트에 오른 에드먼드 힐러리 경은 뉴질랜드 인입니다. 여러분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에 인류 최초로 오르게 되면 거기서 무엇을 하실 건가요? 인류 최초로 에베레스트에 오른 에드먼드 힐러리 경과 셰르파 텐징 노르가이는 ( )을 했답니다. 궁금하면 이번 편을 귀 기울여 들어보세요! (특별코너. 근철쌤의 호르몬 강의)
문화의 발견! 세계에서 가장 청정지역으로 손꼽히는 뉴질랜드는 2개의 큰 섬, 북섬과 남섬으로 이루어져있는데요. 2개의 섬은 형제일까요? 뉴질랜드 출생의 비밀(?) 공개! ‘뉴질랜드’라고 이름 붙인 이유도 깨알 공개!
문화의 발견! 하와이보다 27배 큰 뉴질랜드는 왜 세계에서 가장 늦게 발견됐을까요? ‘바람’에 비밀이 숨어있다? 교양의 발견 시즌1의 마지막 국가, 뉴질랜드! 번지점프 2번 뛴 남자 근철쌤과 상큼청량갑 송진희 씨와 함께 시즌1 마지막 여행을 떠나보아요!
어록의 발견! 인간은 걱정을 왜 할까요? 걱정은 과연 필요한 걸까요? 혹시 걱정을 안 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대개 사람들은 볼 수 있는 것보다 볼 수 없는 것에 대한 걱정을 더 많이 한다.”
인물의 발견! 고대 로마의 장군 줄리어스 시저(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매 1년마다 우리를 한 달 씩 만나러 온다고 합니다. 혹시 보신 분 계세요? 모르고 있었지만, 현대까지 깊숙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고대 로마와 시저의 일화에 대해 들어보시죠~!
문화의 발견! 이탈리아 사람들은 왜 손 제스처를 많이 쓸까요? 이탈리아 사람들 팔을 묶으면 말을 못할 것 같을 정도로, 굉장히 다양한 손 제스처가 많습니다. 또 인생을 굉장히 여유 있게 즐기고, 그런 모습의 영화도 많지요. 풍요롭고 슬로우 문화의 이탈리아로 계속 떠나볼까요?
문화의 발견! 이탈리아 하면 떠오르는 키워드가 참 많은데요. 로마에 가면 동전, 맨홀 뚜껑, 문의 장식 등 온갖 곳에 ‘SPQR’이라 써 있습니다. 도대체 무슨 의미일까요? 그리고 이탈리아인들이 지중해를 호수처럼 만들었다고요?
어록의 발견! “내일 죽을 것처럼 살고, 영원히 살 것처럼 배우라.” 이 말의 진짜 뜻은 무엇일까요? (특종. 10년 후, 20년 후를 볼 수 있는 초능력을 가진 근철쌤???)
인물의 발견! 위인들의 위인, 비폭력 무저항 운동으로 인도를 독립시킨 간디는 ‘인도’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본명인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보다 ‘위대한 영혼’이라는 뜻의 마하트마로 불리며 세계적인 존경을 받는 분이죠. 심지어 간디의 생일은 ‘국제 비폭력의 날’로 지정돼 있기도 한데요. 이 위대한 인물인 간디는 어릴 때부터 ‘위인’이었을까요?
문화의 발견! 인도는 불교의 발상지인데, 현재 불교 신자의 비중이 5% 밖에 되지 않는답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렇다면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불교 사원은 어디에 있을까요? 1편에서 신나게 뿌린 떡밥 회수의 시간!
문화의 발견! 인도 영화엔 왜 장르 관계없이 춤추고 노래하는 장면이 등장할까요? 세계에서 7번째로 큰 나라인 만큼 언어도, 종족도 아주 다양합니다. 그만큼 이야깃거리도 다양해요. 떡밥이 난무하는 인도 문화의 발견! 기대해주세요.
어록의 발견! 우리는 왜 부자가 되고 싶어 할까요? 여러분의 가장 큰 자산목록 1호는 무엇인가요? “걱정은 위에 최악의 독약이고, 만족은 단 하나의 진정한 부이다.”
인물의 발견! 노벨상을 만든 알프레드 노벨이 두 번 죽었다? 노벨은 어린 시절부터 다방면에 관심이 많았다고 합니다. 본래 화학이나 공학보다 문학을 더 좋아했던, 연구 덕후 노벨. 두 번 죽은 사연은 도대체 무엇일까요?
문화의 발견! ‘러시아’라는 이름의 뜻은 ‘노를 젓는 사람들’이란 뜻이다? 지난 시간이 이어 계속 바이킹을 따라가 봅니다. 아래로, 위로 종횡무진 다니던 바이킹들. 역시나 날렵한 배를 타고 움직이던 스웨덴 바이킹은 여러 강을 타고 도시로 들어가 한 곳에서 교역을 시작합니다. 그러다 그곳에 정착을 하죠. 바이킹 형… 어디까지 가봤니?
문화의 발견! 바이킹 해적을 따라가면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가 보인다? 항해술이 발달해서 배 한 척만 있으면 못가는 곳이 없었던 바이킹들. 프랑스의 노르망디가 노르망디인 이유도, 그리고 영국과 프랑스의 백년전쟁의 발단에도 모두 바이킹이 연관돼 있다고 하네요? 바이킹 형… 형이 왜 거기서 나와?
어록의 발견! 만일 내일 죽거나 불구가 되는 사고를 선택해야 한다면 어떤 선택을 하실 건가요? 지금 나에게 가장 힘든 일은 무엇인가요? “웃음보다 더 귀중한 것은 아무것도 없고, 비극은 가장 터무니없는 짓이다.”
인물의 발견! 매일매일 온몸이 뒤틀리는 고통이 있었지만, 자기만의 세계를 구축했던 그녀. 미술 교육을 받지 못한 프리다는 어떻게 세계적인 화가가 되었을까요? 고통과 의지를 그림으로 승화시켰던 멋진 인간, 프리다 칼로를 소개합니다.
문화의 발견! 스페인은 어떻게 멕시코의 아즈텍 문명을 순식간에 멸망시켰을까요? 아즈텍 문명과 마야 문명? 들어는 봤는데… 이 두 문명은 뭐가 다를까요? 예부터 내려온 예언과 한순간의 판단이 세계사를 바꿨다?
문화의 발견! 중남미 나라들은 왜 대부분 스페인어를 쓸까요? 어디는 영어, 또 어디는 프랑스어를 쓰고 말이죠? 쿠바 쪽 바다는 왜 서인도제도라고 불릴까요? 엘살바도르, 코스타리카, 푸에르토리코 등 국가 이름에도 예쁜 뜻이 있다는데… 지도와 함께 보면 더 재밌는 중남미 이야기!
loading
Comments (2)

ssun0415

진심으로 요런 좋은컨텐츠 만들어주셔서 감사해요 ♡

Apr 17th
Reply

홍당무

아리잠직한 백민경씨가오르셨다던 북한산. .서식하는 강아지 이야기로봐선 아마도 삼봉사라는 절이 있는 삼각산이지 않았을까 어림짐작해봅니다

Apr 1st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