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over
최.영.수.: 최신 연구로 살펴보는 영어교육과 수업

31 Episodes
Reverse
[교육과정 특집] 2화 - 개정교육과정 영어과 세부교육과정에서 살펴본 키워드!
연구없이는 좋은 수업을 만들수 없다!
연구와 수업을 리뷰하여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최영수입니다.
이번 교육과정 특집에서는 이번 2022년 개정교육과정의 도입을 앞두고 영어과 세부교육과정을 리뷰합니다.
00:05 Intro
05:52 시작 - 저번주 Rewind 및 교육과정 개정 키워드 소개
07:11 세부 교육과정개정 개괄
18:28 키워드1) 성취기준 변화
37:20 키워드2) 학군별, 학급별 연계 강화
48:46 키워드3) 교수학습 및 평가
62:48 특집 마무리
[교육과정 특집] 1화 - 총론에서 살펴본 개정 키워드!
연구없이는 좋은 수업을 만들수 없다!
연구와 수업을 리뷰하여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최영수입니다.
이번 교육과정 특집에서는 이번 2022년 개정교육과정의 도입을 앞두고 총론을 리뷰합니다.
00:05 Intro
09:28 교육과정 개정 특집 개요
10:05 2022년 개정교육과정 총론과 인간상, 소양에 대한 얼개
18:31 키워드 1) 자기주도성
31:29 키워드 2) 디지털 교육
52:41 키워드 3) 생태교육, 세계 시민교육
62:05 마무리 및 다음주 공지
다음주에는 영어과 개정 교육과정을 살펴봅니다.
[여름방학특집] 2024년 상반기 영어교육 학술지 동향과 안밖에서 살펴본 한국 영어교육학계
이번 여름방학 특집 2화에서는 저번 시간에 못했던 한국응용언어학 학회의 ALAK 학술지 리뷰와
안밖에서 살펴본 한국 영어교육 학술계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00:05 Intro
11:53 한국응용언어학회 ALKA 정리
28:09 안/밖에서 바라본 한국 영어교육학계에 대한 질문
30:40 밖에서 바라본 한국 영어교육학계
54:22 안에서 바라본 한국 영어교육학계
62:58 마무리
다음번화는 아마도 이번 개정된 교육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여름방학특집] 2024년 상반기 3대 영어교육 학술지 연구동향
이번 팟캐스트에서는 KATE, ALAK, MEESO의 학술지들에 게재된 연구들을 살펴 봅니다.
연구 주제, 대상, 특이점, 주목할 만한 연구들을 위주로 이야기 해봅니다.
00:05 Intro
05:18 여름방학 학술지 리뷰 개요
06:00 현대영어학회 MEESO
18:50 한국영어교육학회 KATE
35:42 마무리 및 다음주 공지
다음화에서는 시간상 못했던 ALAK과 현재 안,밖에서 보는 한국 영어교육 학회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겨울방학 특집] 2023 겨울방학 특집 3화 - 영어 대안평가의 방법 (1)
이번 화에서는 영어 대안평가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00:09 Intro
03:54 3~4화 소개
04:51 대안평가란?
05:55 (1) 수행평가
14:24 (2) 인터뷰
22:12 (3) 포트폴리오
30:56 (4) 저널
38:30 마무리 및 다음 화 공지
다음 화에서는 영어 대안평가의 또다른 방법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여름방학 특집 2화] 2022년 상반기 학술지 리뷰를 통한 2022년 하반기 연구!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저번주의 상반기 학술지 리뷰를 전제로
2022년 하반기 연구에 대하여 예상과 희망(?)을 해봅니다.
00:08 Intro
09:14 저번주 요약 및 이번주 주제 소개
09:52 연구의 다양성? 사라진 경향성? 외부요인?
19:50 코로나 이후의 현상연구, 종단연구
27:34 지역자원들을 이용한 학습연구, 융합교육연구
37:23 마무리 및 공지
9월 중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3 EP10] 학회 첫 참가를 위한 안내서!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국내, 해외 학회를 비교하고 참가를 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하는지
그리고 발표는 어떻게 준비하는지 이야기 해 봅니다.
- 발표를 하기 위해서 해야할 것들
- 국내, 해외 학회의 다른점
- 학회 참가를 위해 해야할 것들
다음주에는 새로운 사이클로 찾아옵니다.
[S3 EP9]
이번 팟캐스트에서는 학회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눕니다.
00:07 Intro & Opening
03:48 내용 소개
05:02 학회를 참여해야 하는 이유
- 소셜네트워킹
- 연구 아이디어 얻기
- 연구 아이디어 확인하기
- 자신의 연구 검증하기
22:16 학회 어떻게 참여하나?
25:39 발표의 종류
32:33 마무리 및 다음주 공지
다음주에는 국내학회와 해외학회를 비교하며 학회에서 어떤일이 있는지 알아봅니다.
[S2 EP27] 영어쓰기 수업 하기전에 생각해봐야 할 것들에 대하여 (과업과 평가)
이번 팟캐스트에서는 학습자들의 영어 독해 능력을 평가하여
영어 쓰기 능력을 예측해본 연구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가지고 수업에 적용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리뷰 논문:
The Influence of Text Difficulty and Reading Ability on Korean EFL Reader's Summary Writing
Author: Soojin Ahn
요약 블로그: https://madforge50.tistory.com/795
00:06 Intro
07:27 왜 영어쓰기를 잘 하지 못할까?
14:46 쓰기의 중요성은 왜 잘 와 닿지 않을까?
17:58 모국어 글쓰기와 타겟 쓰기의 관계
25:18 쓰기 수업을 하기 전에 선행되어야 할 것들
27:46 Summary 과업 후 후속 활동들
33:31 마무리 및 다음주 공지
다음주에는 Writing conference와 관련된 논문을 가지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여름방학 특집 2부 5화] 영어다독(ER) 평가, 학생과 교수자가 선호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오늘은 영어다독수업에서 가장 어려운 평가에 관련된 이야기를 해봅니다.
과연 ER과 평가는 공존하기 힘든 것일까요?
리뷰 논문: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Teachers on the Practice of Assessment in Extensive Reading
Author: Misook Kim
요약 블로그:
https://madforge50.tistory.com/780
00:05 Intro
01:03 인사
05:11 논문 리뷰 시작
08:32 연구 논의 (1) 평가에 대한 인식조사 : 사용했나? Vs. 그냥 인식만?
17:34 수업 논의 (1) ER이 학습자의 영어실력에 전반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설득을 어떻게 할까?
28:23 평가를 쓰는 방법과 채점
(1) 게으름 타파?
(2) 동료/자기 평가
(3) ER과 평가가 어울리나?
45:28 ER 시험의 Validity
48:52 마무리 및 다음주 공지
다음주에는 여름방학 특집의 마지막 상반기 연구동향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즌 2 8화] 사이클 2
두번째 사이클의 주제는 교사의 감정노동 (Emotional Labor)와 번아웃 (Burn out)입니다.
3:27 사이클 주제 소개 - 감정노동 (Emotional Labor), 번아웃 (Burn out)
4:23 감정노동 연구의 시작 및 교육계로의 확대
6:12 영어교사에게 감정노동이란?
1) 교수법 측면
2) 학생들의 수준 차이
3) 모국어가 아닌 것에 대한 부담
18:49 어느 영역에서 교사는 감정노동을 경험할까?
1) 인적요인
2) 제도적, 사회적 요인
28:54 감정 노동의 끝 - 번아웃 (Burn out)
30:46 번아웃 극복 - 자율성 확보와 너 자신을 알라!
47:46 마무리 및 다음 주 공지
- 다음주에는 일본상황에서 실행됐던 감정노동 연구를 통해 조금 더 이야기를 나누어 보겠습니다.
배경음악:
https://youtu.be/BzqZ9o2LVzE
읽을거리:
https://madforge50.tistory.com/663
[시즌 2]
1998년 국내 동기연구의 태동기의 연구를 통해 영어학습동기의 시작을 살펴봅니다.
7:42 논문리뷰 시작
13:00 설문을 사용하는 방법
19:30 태도와 동기의 관계
20:00 동기 요인분석
25:07 성취도와 동기와의 관계
27:23 논의 시작 다른 동기구인과 동기 연구의 변화
36:43 어떤것이 선행일까? (동기? 성취도?)
42:54 마무리 및 다음주 공지
- 다음 주에는 탈동기에 관한 연구를 살펴 봅니다.
배경음악:
https://youtu.be/BH-SnQ8J1VU
논문 요약:
http://asq.kr/y1HQgA9bh4cIFg
[시즌 2]
1990년 후반 부터 현재까지의 영어학습동기에 대한 트랜드와 특이점을 알아봅니다.
5:00 지난주 서양편 복습
6:20 국내 및 아시아 영어학습 동기의 전체적 흐름
8:00 1990년 후반 초기 연구의 경향
9:15 선진 연구들을 적용할 때 조심할 점
15:57 2000년대 연구의 경향
20:15 탈동기와 무동기의 태동
24:54 2000년대 이후 질적연구의 필요성 증가
25:49 교사의 동기, 탈동기 연구 증가 하지만...
29:49 최근의 연구들의 경향 (학제간 연구)
32:59 문제점
35:04 논의 시작 (영어학습동기를 증진, 회복 시키는 방법)
54:58 마무리
- 다음 주부터 2~3주간 실제 행해진 연구들을 통해 언어 동기를 봅니다.
배경음악:
https://youtu.be/2h5KZb8K4rU
[시즌 2]
시즌 2의 첫번째 싸이클 주제 '언어 학습 동기'입니다.
1950년 '언어 학습 동기'의 태동 부터 2000년대 초반 까지의 '외국'에서 행해진 연구의 역사를 알아봅니다.
4:14 동기는 추상적이며 가변적이다.
10:23 동기연구는 심리학에서 기반한다.
11:56 1900년대 동기연구의 태동
16:02 Gardner의 등장 (도구성, 통합성 동기)
23:34 1970~80년대 Deci와 Ryan의 등장 (내재적, 외재적 동기 and 자기결정성이론 (SDT))
31:13 Gardner와 기존 연구들에 대한 비판 (동기연구의 다양성 시작)
36:42 1990~2000년대 초신성 Dörnyei의 등장 with Ottó
48:25 논의 - 언어학습동기란 무엇인가?
53:50 동기 vs 동인
60:09 마무리 - 그래서 동기가 뭔데?
- 이번 사이클 주제는 언어 학습 동기입니다.
- 다음 주 주제는 2000년 부터 현재 까지의 한국 언어학습동기 연구들에 대하여 진행합니다.
- 팟캐스트 진행 중 설명한 표는 블로그를 참조해 주세요
배경음악:
https://youtu.be/Q5ljd9EsudY
English Language Assessment (한국영어평가학회) Vol. 15, No.1, 2020편 입니다.
01:18 논문리뷰시작
20:52 디스커션 시작
22:10 Readability의 문제
23:34 협력학습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점
34:23 우리는 왜 Writing을 못하는가?
리뷰 논문은:
협력학습을 적용한 대학생 영어쓰기 수업 사례 연구
Key words: English writing, collaborative learning, writing ability, readability analysis, affective attitude
요약본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https://url.kr/osbOkC
Background Music:
https://youtu.be/2h5KZb8K4rU
English Language Assessment (한국영어평가학회) Vol. 15, No.1, 2020편 입니다.
05:37 논문리뷰시작
19:33 디스커션 시작 : AI 챗봇의 문제점 및 확장성(?)
22:09 과도기적 단계의 AI도 쓸모가 있다?
24:25 어차피 교육부가 교육부한다?!
27:00 AI 챗봇은 궁극적 해결책이 아니다!
38:57 AI 함부로 붙이는 거 아니다!
41:05 4차산업 따라해서만은 안된다~!
리뷰 논문은:
AI 챗봇 매개 초등영어 과정중심 평가 과업의 개발 및 적용
Key words: AI mediated assessment tasks, Process-oriented assessment
요약본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https://url.kr/osbOkC
Background Music:
https://youtu.be/qOhWLaI7BC0
Primary English Education(초등영어교육) Vol. 26, No.3, 2020편 입니다.
01:20 논문리뷰시작
26:55 디스커션 시작
30:09 AI기반 디지털교과서
31:28 AI 교실 활용 방법
36:24 AI 데이터 양과 질
리뷰 논문은:
인공지능기술 활용 대화형 영어 학습 앱을 적용한 초등영어 말하기 수업 분석: 학습자 몰입 및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Author: 김성우, 이삭
Key words: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대화형 앱(conversational app), 자동음성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 몰입(engagement)
요약본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https://url.kr/osbOkC
Background Music:
https://youtu.be/mYsBbtTrOKg
Primary English Education(초등영어교육) Vol. 26, No.3, 2020편 입니다.
04:53 논문리뷰시작
17:14 디스커션 시작 -온라인 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을까?
24:52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
31:22 코로나 후 우리는 돌아갈까?
리뷰 논문은:
자기주도학습능력 계발을 위한 초등 영어 읽기,쓰기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Author: 이경미, 김혜련
Key words: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 초등영어(elementary English), 읽기(reading), 쓰기(writing), 학습계약서(learning contract)
요약본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https://url.kr/osbOkC
Background Music:
https://youtu.be/FpfkKBWPseE
KATE Volume 75. Number 2. Supplement 1 Summer 2020편 입니다.
3:50 논문리뷰시작
5:00 Construction Grammar
13:20 첫번째 논문
21:30 두번째 논문
30:15 정리
31:29 Construction Grammar 문법교육에 유용한가?
45:30 Emergentism에서 바라본 문법교육
리뷰 논문은:
1. Testing Usage-Based Approaches to Assessing EFL Learners' Development of English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s
Author: Hyunwoo Kim, Yangon Rah, and Haerim Hwang
Key words: constructional knowledge, Korean EFL learners, developmental process, sorting task, translation
2. Utterance-Based Measurement of L2 Fluency in Speaking Interactions: A Constructionist Approach
Author: Jungyoun Choi and Min-Chang Sung
Key words: L2 speaking interaction, fluency, sentence-level utterance, argument structures, transitive construction
요약본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https://url.kr/osbOkC
Background Music:
https://youtu.be/ZNX-Ns-tivI
Primary English Education(초등영어교육) Vol. 26, No.2, 2020편 입니다.
01:06 논문리뷰시작
24:38 디스커션 시작 - 수업에서 멀티미디어 어떻게 써야할까?
30:31 정보의 격차와 교육 (멀티미디어 리터러시)
43:34 앞으로 디지털 교과서의 발전 방향
리뷰 논문은:
디지털교과서 및 번역기 활용 쓰기 활동이 6학년 학생들의 영어 쓰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Author: 김인옥
Key words: 디지털교과서 (digital textbook), 번역기(translator), 자기주도적 학습(self-regulated learning), 영어 쓰기(English writing), 영어 학습 태도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요약본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https://url.kr/osbOkC
Background Music:
https://youtu.be/eeQzkO6Yog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