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해결 상담소] #44 실패: “실패와 함께 살아가기: 실패, 어떻게 대하면 좋을까?”
Update: 2020-04-28
Description
우리는 어떤 의미로 실패의 전문가입니다 우리의 삶은 크고 작은 실패로 이루어져 있으니까요.
그러나 우리는 실패에 ‘대처’하는 일에는 아직 전문가가 아닌 것 같아요.
실패, 어떻게 하면 잘 다룰 수 있을까요?
- 때로 실패보다 아쉬운 것은 실패 이후 나의 태도: 하지만 어쩌면 좋을까?
실패는 과연 극복가능한 대상인가? : 차라리 청소하고 청소해도 쌓이는 바닥의 먼지로 대하는 것이 나을 것
- 실패, 단순하게 받아들일 수는 없을까?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면 제일 편할텐데
혼자 받아들인다고 넘어가지는 것이 아니다 : 사회가 그렇게 안 봐주는데
- 실패에 대한 관점의 전환이 필요해 : 회복탄력성을 위하여
실패는 어디에나 있다 : 노력-성공은 판타지
실패는 현실을 제대로 보고 알게 한다
- 방법 하나: 무엇을 잃었는가? 대신 무엇이 시작되는가?를 물어보기
실패는 성취와 성공에 익숙해지기까지의 필수 과정? (feat. 칸트)
걸음마는 엄청 넘어지고서야 가능한 것
- 방법 둘 : 상대적으로 좋은 실패의 방법을 물어보기, 무엇이 나의 역량을 키우는데 더 나은 선택인가?
- 그러나 성공으로 이어지지 않는 실패는 여전히 받아들이기 힘들지 않을까?
- 실패와 함께 살아가기 하나, 내 몸인 것처럼 실패를 대하기
내 몸은 쉽게 다칠 수 있고 회복에는 시간이 필요함을 인정하며
- 실패와 함께 살아가기 둘, 소화를 위해서는 의미가 필요하다
아주 개인적인 의미를 부여하기
실패와 함께 살아가기 셋, 우연한 선물처럼 생각하기
실패는 화가의 우연한 붓터치와 같은 것(feat. 미셸 푸코)
그러나 우리는 실패에 ‘대처’하는 일에는 아직 전문가가 아닌 것 같아요.
실패, 어떻게 하면 잘 다룰 수 있을까요?
- 때로 실패보다 아쉬운 것은 실패 이후 나의 태도: 하지만 어쩌면 좋을까?
실패는 과연 극복가능한 대상인가? : 차라리 청소하고 청소해도 쌓이는 바닥의 먼지로 대하는 것이 나을 것
- 실패, 단순하게 받아들일 수는 없을까?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면 제일 편할텐데
혼자 받아들인다고 넘어가지는 것이 아니다 : 사회가 그렇게 안 봐주는데
- 실패에 대한 관점의 전환이 필요해 : 회복탄력성을 위하여
실패는 어디에나 있다 : 노력-성공은 판타지
실패는 현실을 제대로 보고 알게 한다
- 방법 하나: 무엇을 잃었는가? 대신 무엇이 시작되는가?를 물어보기
실패는 성취와 성공에 익숙해지기까지의 필수 과정? (feat. 칸트)
걸음마는 엄청 넘어지고서야 가능한 것
- 방법 둘 : 상대적으로 좋은 실패의 방법을 물어보기, 무엇이 나의 역량을 키우는데 더 나은 선택인가?
- 그러나 성공으로 이어지지 않는 실패는 여전히 받아들이기 힘들지 않을까?
- 실패와 함께 살아가기 하나, 내 몸인 것처럼 실패를 대하기
내 몸은 쉽게 다칠 수 있고 회복에는 시간이 필요함을 인정하며
- 실패와 함께 살아가기 둘, 소화를 위해서는 의미가 필요하다
아주 개인적인 의미를 부여하기
실패와 함께 살아가기 셋, 우연한 선물처럼 생각하기
실패는 화가의 우연한 붓터치와 같은 것(feat. 미셸 푸코)
Comments
In Channel

![[미해결 상담소] #44 실패: “실패와 함께 살아가기: 실패, 어떻게 대하면 좋을까?” [미해결 상담소] #44 실패: “실패와 함께 살아가기: 실패, 어떻게 대하면 좋을까?”](https://s3.castbox.fm/a7/06/b6/5e1a078cd2b09d005916e60d0244adb512_scaled_v1_40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