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over북저널리즘 weekend
북저널리즘 weekend
Claim Ownership

북저널리즘 weekend

Author: 북저널리즘

Subscribed: 9,023Played: 47,178
Share

Description

북저널리즘 weekend와 함께 이 주의 뉴스, 비즈니스, 라이프스타일, 글로벌 이슈를 알아보세요. 에디터의 관점으로 맥락을 해설하고 미래를 들여다봅니다. 책처럼 깊이 있게, 뉴스처럼 빠르게. 북저널리즘
196 Episodes
Reverse
북저널리즘 팟캐스트가 시리즈 형식으로 달라졌습니다. 하나의 주제를 여러 에피소드로 나누어 더 깊이 있게 다룹니다. 테크와 컬처, 국제 정치의 맥락을 더 풍성하게 해설합니다.이번 시리즈는 〈잘 팔리는 것들〉입니다. 흔히 잘 팔린다고 알려진 현상이나 상품은 레퍼런스가 됩니다. 인사이트의 원천이 되죠. 하지만 성공 레시피를 반복하는 것만으로 혁신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때로는 다른 시각이 필요하죠. 베스트셀러에 대한 개인적인 거리감, 철학적인 의심이 쌓여 다음 베스트셀러가 탄생합니다.ep.02에서는 어필리에이트 마케팅을 다룹니다. 쿠팡 파트너스 프로그램처럼 인플루언서나 유튜버 등이 상품을 홍보하고, 고유의 링크를 통해 판매가 이루어지면 수수료를 정산받는 방식입니다. 요즘 소셜 미디어, 틱톡, 유튜브 콘텐츠에서 심심치 않게 보이죠. 빠르게 성장하는 섹터입니다. 올리브영도 뛰어들었습니다. 하지만 이대로 괜찮은 걸까요? 저는 이 상황에 영화 〈트루먼 쇼〉가 자꾸만 겹쳐 보입니다. 여러분은 어떠신가요?〈잘 팔리는 것들〉의 두 번째 에피소드를 시작합니다.
서울대학교 출신 남성들이 동문 여성 수십여 명의 합성 음란물을 만들고 유통한 사건이 수면 위로 드러났습니다. 이들은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해 지인들의 얼굴을 음란물에 합성했는데요. AI 기술이 발전할수록 이러한 종류의 딥페이크 성범죄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심지어는 아르헨티나의 선거, 또 각종 정치 싸움이나 가짜 뉴스와도 연계되며 더더욱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데요. 기술의 발전에 앞서 우리 사회가 짚고 넘어가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ep.01: 자기 계발서북저널리즘 팟캐스트가 시리즈 형식으로 달라졌습니다. 하나의 주제를 여러 에피소드로 나누어 더 깊이 있게 다룹니다. 테크와 컬처, 국제 정치의 맥락을 더 풍성하게 해설합니다.두 번째 시리즈는 〈잘 팔리는 것들〉입니다. 흔히 잘 팔린다고 알려진 현상이나 상품은 레퍼런스가 됩니다. 인사이트의 원천이 되죠. 하지만 성공 레시피를 반복하는 것만으로 혁신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때로는 다른 시각이 필요하죠. 베스트셀러에 대한 개인적인 거리감, 철학적인 의심이 쌓여 다음 베스트셀러가 탄생합니다.ep.01에서는 자기 계발서를 다룹니다. 서점의 베스트셀러 코너를 늘 가득 채우고 있는 장르입니다. 누군가에겐 거리감이 느껴지는 책입니다. 반대로 누군가에겐 삶을 든든하게 지원하는 가이드북이죠. 2023년을 화려하게 장식했던 《세이노의 가르침》 열풍에서 시작해 푸코와 지젝의 담론을 통해 자기 계발서의 인기를 다시 생각해 봅니다.〈잘 팔리는 것들〉의 첫 번째 에피소드를 시작합니다.
Ep3 제트랜드: 독자가 아니라 친구를 모은 미디어북저널리즘 팟캐스트 〈그들은 어떻게 구독자를 모았나〉 시리즈의 마지막 편입니다. 이번에는 북유럽으로 향합니다. Ep3에서는 덴마크의 뉴스 스타트업 ‘제트랜드(Zetland)’의 실험을 살펴봅니다.제트랜드는 2016년 덴마크 코펜하겐의 한 지하실에서 네 명의 기자가 시작한 유료 매체입니다. 제트랜드는 5분 전에 일어난 일이 아니라, 이 시대를 규정하는 문제에 초점을 맞춥니다. 속보성 뉴스는 다루지 않고 슬로우 저널리즘을 지향합니다.덴마크 인구는 600만 명입니다. 시장이 너무 작아서 광고 모델을 채택할 수가 없었죠. 제트랜드는 사람들이 기꺼이 지갑을 열 만한 고품질 저널리즘 콘텐츠를 만들기로 합니다. 제트랜드는 롱폼 텍스트 콘텐츠에 오디오를 결합하고, 커뮤니티 중심의 구독 서비스로 독자가 아니라 친구를 모았습니다. 2019년 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현재 유료 독자는 4만 명이 넘습니다. 핀란드에까지 진출했고요.제트랜드의 실험과 성과를 통해, 저널리즘의 새로운 가능성을 생각해 봅니다. 〈그들은 어떻게 구독자를 모았나〉의 마지막 에피소드를 시작합니다. 다음번 북저널리즘 팟캐스트는 다른 시리즈로 찾아오겠습니다.
Ep2 더 데일리: 친근함, 바바로, NYT북저널리즘 팟캐스트가 시리즈 형식으로 달라졌습니다. 하나의 주제를 여러 에피소드로 나누어 더 깊이 있게 다룹니다. 테크와 컬처, 국제 정치의 맥락을 더 풍성하게 해설합니다.첫 번째 시리즈는 〈그들은 어떻게 구독자를 모았나〉입니다. 지금은 성공한 미디어들이 론칭 초기에 사용자를 어떻게 모았는지 이야기합니다. 미디어 세 곳의 이야기를 에피소드 세 편에 걸쳐 살펴봅니다. 미국의 경제 뉴스레터 ‘모닝브루(Morning Brew)’, 뉴욕타임스의 팟캐스트 ‘더 데일리(The Daily)’, 덴마크의 미디어 스타트업 ‘제트랜드(Zetland)’입니다.Ep2에서는 더 데일리를 다룹니다. 뉴욕타임스는 평일 종이 신문을 60만 부 인쇄합니다. 더 데일리는 매일 400만 회 다운로드됩니다. 170년이 넘는 전통의 종이 신문을 날마다 받아 보는 사람보다 더 많은 사람이 더 데일리를 듣습니다. 얼마 전까지 뉴욕타임스 오디오국장을 지낸 에릭 보렌스타인은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는 더 데일리를 뉴욕타임스의 새로운 1면으로 생각한다.”그들의 성공 요인으로 저는 친근함, 바바로, NYT를 꼽고 싶습니다. 〈그들은 어떻게 구독자를 모았나〉의 두 번째 에피소드를 시작합니다.
Ep1 모닝브루: 손을 더럽힐 각오북저널리즘 팟캐스트가 시리즈 형식으로 달라졌습니다. 하나의 주제를 여러 에피소드로 나누어 더 깊이 있게 다룹니다. 테크와 컬처, 국제 정치의 맥락을 더 풍성하게 해설합니다.첫 번째 시리즈는 〈그들은 어떻게 구독자를 모았나〉입니다. 지금은 성공한 미디어들이 초기에 사용자를 어떻게 모았는지 이야기합니다. 미디어 세 곳의 이야기를 에피소드 세 편에 걸쳐 살펴봅니다. 미국의 경제 뉴스레터 ‘모닝브루(Morning Brew)’, 뉴욕타임스의 팟캐스트 ‘더 데일리(The Daily)’, 덴마크의 미디어 스타트업 ‘제트랜드(Zetland)’입니다.Ep1에서는 모닝브루를 다룹니다. 2014년 미시간대학교 재학생의 사이드 프로젝트로 시작해 구독자 400만 명, 연매출 7000만 달러의 뉴스레터가 되기까지, 그들은 어떻게 일했을까요. 요약하자면, 모닝브루는 론칭 초기에 확장할 수 없는 일을 했기에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엔진이 한번 돌아가면 계속 돌아가지만, 처음에 엔진이 돌아가려면 수고로운 과정이 필요합니다. 누군가는 손을 더럽힐 각오가 있어야 하죠. 모닝브루는 그 각오가 있었습니다.〈그들은 어떻게 구독자를 모았나〉의 첫 번째 에피소드를 시작합니다.
2024년을 만든 인물 10인을 이야기합니다. 지난 1편에서는 트럼프, 머스크, 푸틴, 윤석열, 한강까지 살펴봤는데요, 이번에는 나머지 5인을 살펴봅니다. 또 어떤 인물들이 2024년을 웃고 울고 놀라게 했을까요? 독자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2024년을 만든 인물 10인을 이야기합니다. 지난 1편에서는 트럼프, 머스크, 푸틴, 윤석열, 한강까지 살펴봤는데요, 이번에는 나머지 5인을 살펴봅니다. 또 어떤 인물들이 2024년을 웃고 울고 놀라게 했을까요? 독자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말 그대로 다사다난했던 한 해였습니다. 올해는 특히 많은 일들이 있었죠.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부터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선 승리, 12·3 비상계엄 사태까지, 10~12월에 대형 이슈가 몰리면서 기쁘고 놀랍고 분노하는 연말이었습니다. 올해 어떤 일들이 또 있었을까요? 2024 올해의 인물 10인을 통해 올 한 해를 돌아봅니다. 2024년 12월 마지막 주와 2025년 1월 첫 주, 2주에 걸쳐 업로드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말 그대로 다사다난했던 한 해였습니다. 올해는 특히 많은 일들이 있었죠.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부터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선 승리, 12·3 비상계엄 사태까지, 10~12월에 대형 이슈가 몰리면서 기쁘고 놀랍고 분노하는 연말이었습니다. 올해 어떤 일들이 또 있었을까요? 2024 올해의 인물 10인을 통해 올 한 해를 돌아봅니다. 2024년 12월 마지막 주와 2025년 1월 첫 주, 2주에 걸쳐 업로드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개인 명품의 전 세계 매출은 2000년 1000억 달러에서 2023년 4000억 달러로 증가했는데요, 이 성장세가 꺾이고 있습니다. 컨설팅 업체인 베인에 따르면 개인 명품에 대한 지출은 2024년에 2퍼센트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계 최대 럭셔리 대기업인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의 패션 및 가죽 제품 판매가 급감했죠. 할인 판매에 나선 럭셔리 브랜드도 많습니다. 서구의 중산층 소비자들은 높은 이자율과 고용 시장 냉각으로 사치품 지출을 줄이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명품 시장인 중국에서도 변화가 감지됩니다. 중국 젊은이들은 명품 가방 대신 비닐봉지를 들고 다니며 검소함을 과시합니다. 게다가 럭셔리 브랜드들의 확장 전략도 스스로의 발목을 잡았습니다.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AI 검색 서비스인 퍼플렉시티에 접속해서 현재 주요 이슈를 물어보면 타임, 슈피겔, 포춘 등 6개 뉴스 매체에서 정보를 가져와 요약해 줍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의 생성형 AI도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죠. 《워싱턴포스트》는 자사 기사를 기반으로 질문에 답하는 챗봇 Ask the Post AI를 출시했습니다. 독자들이 이미 만들어진 뉴스를 읽는 것이 아니라, AI가 즉석에서 만들어 준 기사를 읽는 것으로 뉴스 소비 방식이 바뀐다면, 뉴스 산업 전반이 달라질 겁니다. 북저널리즘이 서비스를 개편한 이유입니다. bkjn review에서 다룬 네 가지 에피소드를 짤막하게 들려드립니다.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미국 오리건주에서 신문사 한 곳이 통째로 털렸습니다. 140년 역사의 지역 신문 《애슐랜드 데일리 타이딩스(Ashland Daily Tidings)》는 2023년에 문을 닫았습니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같은 이름의 웹사이트가 등장해 다양한 기사를 선보였습니다. 알고 보니 기자도 가짜, 뉴스도 가짜였습니다. 모두 AI로 만들어 낸 것이었죠. 이들은 가짜 기사를 마구 생산해 트래픽을 올리고, 그 트래픽으로 광고 수익을 올리고 있었습니다. 문제는 이런 사기꾼들을 잡기도 힘들다는 겁니다. 그들은 미국 외의 지역, 아마도 중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이들을 잡는 건 “유령을 쫓는 것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전 세계 항공 업계의 탄소 배출 비중은 전체 배출량의 2퍼센트입니다. 지속 가능한 항공 연료와 전기 비행기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비행의 친환경적 대안으로 제안되는 또 다른 형태의 항공 여행이 있습니다. 바로 비행선입니다. 비행선은 20세기 초까지 인기를 끌다가 지금은 거의 사라졌는데요, 비행선을 다시 개발하려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구글의 창업자 세르게이 브린은 LTA(Lighter Than Air)라는 비행선 스타트업을 설립해 초대형 비행선을 만들고 있죠. 비행선은 시속 130킬로미터 정도입니다. 너무 느려서 비행 수요를 완전히 대체할 순 없겠지만, 다른 유형의 여행이라면 얘기가 다릅니다. ‘느린 여행’이라면 비행선 수요가 있을지 모릅니다. 크루즈선처럼 비행선을 타고 북극과 세렝게티를 내려다보는 거죠. 비행선은 저고도에서 비행하기 때문에 창문을 열고 밖을 볼 수도 있습니다. 또 비행선은 비행기보다 크게 만들 수 있어서 내부에 객실도 둘 수 있습니다. 북저널리즘 www.bookjournalism.com
스타벅스 김포애기봉생태공원점이 얼마 전 문을 열었습니다. 북한을 바라보며 커피를 마실 수 있는 공간으로 큰 관심을 모았는데요. 김포의 애기봉은 오랫동안 북한 접경지역으로서의 아픔을 간직한 곳입니다. 이곳의 스타벅스가 품고 있는 의미를 짚어봅니다.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트럼프 2기가 시작되는 2025년의 세계 경제는 분명 지금까지와는 다른 국면을 맞게 될 겁니다. 어떤 변화가 있을지 의견이 분분한데요, 워싱턴에서 트럼프 1기를 직접 목격한 특파원 출신의 전문가는 우리가 지금 당장 대비해야 할 것은 바로 미국의 ‘제제 전쟁’이라고 이야기합니다. 미국이 경제 제재라는 무기를 통해 피 한 방울 흘리지 않고 세계의 패권을 유지하는 전략을 쓰고 있다는 건데, 사례를 들어보면 기가 막힙니다. 북저널리즘의 신간, 《제재 전쟁》을 통해 ‘제재’의 실체를 파헤쳐봅니다.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덴마크에서 파격적인 실험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바로 모든 동물이 똥, 방귀, 트림을 통해 배출하는 메탄에 세금을 부과하는 것인데요, 메탄이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기 때문입니다. 덴마크에는 사람 수보다 소, 돼지의 수가 5배 더 많습니다. 인위적 개입 없이 현 상태가 유지될 경우 2030년에는 덴마크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46퍼센트가 농업에서 나올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래서 정부가 세계 최초로 농업 분야에 탄소세를 도입하기로 한 거죠. 덴마크 정부는 2030년부터 소, 돼지 등 가축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1톤당 약 6만 원의 세금을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소 한 마리당 약 100유로의 세금이 붙게 됩니다. 비슷한 정책을 뉴질랜드도 도입하려 했지만, 농축산업 단체의 반대에 부딪혀 결국 실패했죠. 덴마크는 뭐가 달랐을까요?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2022년 2월 24일 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을 때 이 전쟁이 이렇게 오래갈 줄은 아무도 몰랐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일주일 내로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점령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 전쟁이 지난 11월 19일 1000일을 맞았습니다. 러-우 전쟁은 언제 어떻게 시작됐을까요? 푸틴의 관점에서 전쟁의 맥락을 들여다봅니다. 독일 통일에서부터 유로마이단 혁명, 돈바스 전쟁, 러-우 전쟁까지 이어지는 흐름을 살펴봅니다.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지금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는 ‘국제 AI 안전 기관 네트워크 총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2025년 2월에 프랑스에서 AI 정상 회담이 열리는데요, 이 회담의 준비 모임 성격입니다. AI 정상 회담은 세계 각국 정상과 국제기구 수장, 대기업과 중소기업 CEO, 학계 대표, 비정부 기구, 예술가, 시민 사회 구성원 등이 모여 AI에 관한 국제 사회의 대응을 논의하는 자리입니다. 일부 학자들은 2035년이면 의식을 가진 AI가 출현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최근에는 〈Taking AI Welfare Seriously(AI 복지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기)〉라는 보고서까지 나왔는데요, AI 발전 속도가 하도 빨라서 AI의 복지까지 염려해야 하는 세상이 됐습니다.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미국 법무부가 구글의 검색 독점을 해소하기 위해 구글에 크롬 매각을 명령해 달라고 법원에 요구했습니다. 지난 8월 법원이 구글의 검색 시장 독점을 인정한 데 따른 것인데요, 구글의 세계 검색 시장 점유율은 91퍼센트, 브라우저 시장에서 크롬의 점유율은 64퍼센트입니다. 법무부가 검색 독점의 통로로 크롬을 지목한 것이죠. 구글은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크롬이 강제 매각되면 소비자와 개발자, 그리고 미국의 기술 리더십에 피해를 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번 소송의 쟁점, 법무부의 독점 해소책, 구글의 대응, 소송의 전망까지 두루 살펴봅니다. 북저널리즘 둘러보기 https://www.bookjournalism.com/
loading
Comments (1)

Maysha Gupta Nidhi (Pirate King)

🔴WATCH>>ᗪOᗯᑎᒪOᗩᗪ>>LINK>👉https://co.fastmovies.org

Jan 29th
Reply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