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飽私囊_중포사낭, 假公濟私_가공제사
Update: 2024-07-13
Description
아리송한 표현 해결사 -2024.07.13.
-자기 것이 아닌데 중간에서 자신의 주머니에 채운다는 뜻의 ‘중포사낭’과 공적인 이름을 빌려 개인의 이익을 챙기며 편의를 도모한다는 뜻의 ‘가공제사’.–
中飽私囊
중포사낭-쫑바오스낭
뜻: 자기 것이 아닌데 중간에서 재물을 가로채어 자신의 주머니에 채운다는 의미임.
출처: 전국시대ㆍ한비(韓非, 생몰: 기원전 약 281년~ 기원전 약 233년), <한비자ㆍ외저설 우하《韓非子・外儲説右下》>
발음: 주음부호/한어병음/한국어(괄호 안은 성조)
- 中:ㄓㄨㄥ/ zhōng/ 쫑(1)
- 飽:ㄅㄠˇ/ bǎo/ 바오(3)
- 私:ㄙ/ sī/ 스(1)
- 囊:ㄋㄤˊ/ náng/ 낭(2)
假公濟私
가공제사-쟈꽁찌스
뜻: 공적인 명의를 빌려 사사로운 일을 챙긴다는 말로 개인의 이익을 챙김을 의미함.
출처: 동한(후한) 반고(班固, 생몰: 32~92년) <한서ㆍ두주전 《漢書.杜周傳》>
*<한서>는 <전한서>라고도 함. <전한서>는 사마천의 <사기>의 문장 격식에서 약간 변화한 중국의 첫 번째 기전체(역사 기술과 편찬 체제의 하나) 단대사(어떤 한 왕조에 한정하여 쓴 역사), 이중의 ‘예문지’는 각종 학술 유파의 원류를 전문적으로 논한 것으로 당시 남아있던 서적을 기록한 것임.
발음: 주음부호/한어병음/한국어(괄호 안은 성조)
- 假:ㄐㄧㄚˇ/ jiǎ / 쟈(3)
- 公:ㄍㄨㄥ/ gōng/ 꽁(1)
- 濟:ㄐㄧˋ/ jì/ 찌(4)
- 私:ㄙ/ sī/ 스(1)
오늘의 한 마디(괄호 안은 한국어 발음):
公私要分明,他怎麼可以假公濟私呢?
(꽁스야오 펀밍, 타 전머 커이 쟈꽁찌스너?)
뜻: 공사가 분명해야 하는데 그는 어찌 ‘가공제사(공적인 이름을 빌려 사사로운 이익과 편의)’를 할 수 있는가?
(公私要꽁스야오 分明펀밍,他타 怎麼전머 可以커이 假公濟私呢쟈꽁찌스너?)
- 진행: 뤼쟈잉, 노혁이, 백조미
- 해설: jennifer pai
Comments
In Chan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