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cover타이완 문학ㆍ언어鐵石心腸_철석심장, 優柔寡斷_우유과단
鐵石心腸_철석심장, 優柔寡斷_우유과단

鐵石心腸_철석심장, 優柔寡斷_우유과단

Update: 2024-08-03
Share

Description

아리송한 표현 해결사  -2024.08.03.



-강인하며 감정에 흔들리지 않는 성격을 가진 사람을 비유적으로 가리키는 철석심장과 스스로 주관적인 결단을 하지 못하며 갈팡질팡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우유과단







 



鐵石心腸



철석심장-톄스신창



원래는 의지가 강인하며 감정에 흔들리지 않는 성격을 사람을 가리켰으나 지금은 한국에서 말하는 ‘목석간장(木石肝腸)’과 유사한 철석같이 냉정하고 무정한 마음씨를 이르기도 함.



출처: <위무 고사《魏武故事》>



*위무(魏武)는 삼국시대 위나라 조조를 가리킨다. 사후 위나라 황제가 된 조비가 그의 아버지 조비를 ‘무제(武帝)’로 추서한 데서 유래한 것이다.



 



발음주음부호/한어병음/한국어(괄호 안은 성조)




  • ㄊㄧㄝˇ/ tiě/ 톄(3)

  • ㄕˊ/ shí/ 스(2)

  • ㄒㄧㄣ/ xīn/ 신(1)

  • ㄔㄤˊ/ cháng/ 창(2)







 



優柔寡斷



우유과단-요우러우과똰



: 결단을 내리지 못하며 주관적으로 결정하지 못하는 사람의 성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한국에서 쓰는 ‘우유부단’과 같은 의미임.



출처:  전국시대ㆍ한비 (韓非, 생몰: 기원전 약 281년~ 기원전 약 233년)  <한비자ㆍ망징 《韓非子.亡徵》>



* <망징>은 나라가 멸망하는 징조를 뜻함.



 



발음주음부호/한어병음/한국어(괄호 안은 성조)




  • ㄧㄡ/ yōu/ 요우(1)

  • ㄖㄡˊ/ róu/ 러우(2)

  • ㄍㄨㄚˇ/ guǎ/ 과(3)

  • ㄉㄨㄢˋ/ duàn/ 똰(4)



 







오늘의  마디(괄호 안은 한국어 발음):



他生性膽小懦弱,遇事優柔寡斷。



(타 성씽 단샤오눠뤄, 위쓰 요우러우과똰)



뜻: 그는 천성이 겁 많고 나약하여 무슨 일에 직면할 때 우유부단하다.



(生性성씽 膽小懦弱단샤오눠뤄,遇事위쓰 優柔寡斷요우러우과똰)




  • 진행: 뤼쟈잉, 노혁이, 백조미  

  • 해설: jennifer pai

Comments 
In Channel
loading
00:00
00:00
x

0.5x

0.8x

1.0x

1.25x

1.5x

2.0x

3.0x

Sleep Timer

Off

End of Episode

5 Minutes

10 Minutes

15 Minutes

30 Minutes

45 Minutes

60 Minutes

120 Minutes

鐵石心腸_철석심장, 優柔寡斷_우유과단

鐵石心腸_철석심장, 優柔寡斷_우유과단